유라시아대장정

배 병해관리

2016. 12. 6. 23:04 - 유라시아대장정


1.

머리말

병을 방제하는 방법은 병원균의 종류, 기주식물, 가주와 병원균의 상호관계 등에 따라서 다르다. 거의 모든 방제법이 병을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병 방제의 방법은 병원균을 기주식물체가 존재하는 지역으로부터 멀리 배제시키는 조절적 방제법(regulatory control measures), 식물체를 가능한 병원균과 접촉되지 않게 하고, 식물체와 포장에 있는 병원균을 제거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경종적 방제법(cultural control methods), 병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기주식물을 개선하거나 병원균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미생물을이용하는생물·경종적방제법(biological andcultural methods), 식물체에 도달하는 병원균을 미리 예방하거나 이미 감염이 진전된 병을 치료하여 식물체를 보호하는 물리·화학적 방제법(physical and chemical methods)이 있다.

과수원의 병해 종합적 방제법은 과종(배 품종), 병원균, 예상되는 환경조건, 방제비용 등에 대한 모든 정보가 고려된다면 가장 경제적이며 성공적인 방제를 할 수 있다

2. 병해 예방 및 치료

가.

예 방

병해충의 최고의 방제 대책과 최고의 안전 방법은 치료보다 예방이다. 예방하지 못하면 언제든지 피해를 입게 되어 있다.
 

(1)

땅심을 돋운다
토양이 비옥해질수록 병해는 적어진다. 뿌리를 넓고 깊게 하여 충분한 양분을 흡수하게 해야 하며, 토양의 산도가 약산성 내지 미산성이 되도록 유도하고 이 방법으로 퇴비를 해야 한다. 유기물(부식질)이 4%이상 되도록 해야한다.
 

(2)

저항력을 길러 준다
일차적으로 식물이 병원균과 싸우게 해야 한다. 식물에는 병원균에 대한 자체 치유력이 있다.

(가)

토양에 유기물을 많이 넣어라
1단보당 최소한 3톤 이상의 퇴비(톱밥퇴비, 목재퇴비)를 넣어 주어야 한다. 더 빨리 자체 치유력을 되돌려주고 회복시키고 싶으면 매년 2톤 이상씩 넣어 주어야 한다.
 

 

(나)

부족한 성분은 화학비료로 대체하라
1년에 3톤 이상씩 5년간만 한다면 그 이후에는 거의 화학비료 신세를 지지 않아도 될 것이다. 연차적으로 화학비료가 줄어들면 농약 살포 횟수도 분명히 줄어들게 된다.
 

 

(다)

농사 방법과 순서를 원위치시켜라
농사의 바른 방법, 바른 순서는 퇴비를 기본으로 하고 부족 부분을 화학비료로 보충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의 농업기술을 보라. 주객이 전도되어 모든 것을 화학비료에 의존하고 퇴비는 입가심이 아닌가?
 

(3)

토양이 식물의 안식처가 되게 하라
모든 사람들이 집을 그리워하고 고향을 좋아함도 그 포근한 맛 때문이 아니겠는가? 식물에게도 안식처를 제공하자. 뿌리가 아무 이상 없이 살 수 있도록 안식처를 만들어 주자.
 

(4)

잎을 두껍게 하라
지상부에서 나타나는 병해의 대부분은 잎에서부터 나타난다. 화학농업에 의한 재배는 잎의 두께가 얇아지고, 유기농법에 의해 재배된 식물은 잎이 두꺼워진다.

잎이 두꺼워질수록 왁스층이 단단해진다. 일반 병원균들은 유기농업에 의해 자라난 잎의 조직을 뚫고 들어가기가 힘들다. 식물의 잎을 두껍게 할수록, 왁스층을 단단히 할수록 병해는 멀어질 것이다

(가)

질소질을 줄이고 인산·칼리·고토·칼슘·붕사 등과 바이오효소·보리돌뜸씨·패화석효소, 망간, 아연 등과 각종 4종 복합비료를 필요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다.
 

(나)

잎을 건강하게 하는 데 제일 중요한 성분은 고급 유기질 비료이다. 고급 유기질 비료를 기비와 추비로 사용하면 식물의 잎면적이 넓어지고, 두께와 왁스층도 강해질 것이다.
 

(5)

작물이 햇빛을 많이 받게 하라
유기농업을 한다면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데 바로 자연의 능력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는 것이다. 대자연의 혜택을 흡수하면서 자연의 에너지를 계속 충전받을 때 건강하게 된다.

햇빛은 최고의 소독제이다. 소독제 중에 가장 귀하고, 지속적이며, 값싼 약이 바로 햇빛이다.

    햇빛이 가는 곳에는 죽음이 없고, 
    햇빛이 가는 곳에는 병균이 없고, 
    햇빛이 가는 곳에는 약함이 없고, 
    햇빛이 가는 곳에는 건강이 있다.

나.

병원균의 감소

과수원에서의 병 방제는 겨울에 시작되는 데 죽은 가지, 줄기, 열매는 봄에 감염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거한 후 파묻거나 태워버린다. 즉 포장을 청결히 하며 월동병해의 잠복처를 제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전년도에 병해발생이 많은 포장은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여 방제하는 것이 초기병해밀도를 낮추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월동직후에는 병원균의 활동이 비약하고 휴면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저장양분을 이용하기 위해 수분을 흡수하지 않음으로 일반적인 수화제 형태의 살균제만으로 방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전년도에 병해발생이 많은 포장은 접촉독으로 병원균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는 석회유황합제와 같은 무기화합물살포제를 살포하여 방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제법이다.


일반적으로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경에 인편이 어느정도 부풀러 올라 주름이 펴져 표면적이 늘어 났을때, 즉 단과지의 인편사이가 2∼3mm정도 벌어졌을 때가 병원균이 활동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이때가 가장 좋은 살포시기이다. 석회유황합제는 부착성이 낮으므로 전착제를 혼용하여 살포하는 것도 약효를 증진시키는 하나의 방법이다.

눈이 열린후에 나오는 화서와 잎은 병원체에 가장 감수성이므로 병에 걸릴 가능성이 제일 높다. 꽃은 7일이상 계속해서 피고, 잎은 그 기간동안 빠르게 생장하여 꽃이 피는동안 또는 직후에 병원균은 포자를 내기 때문에 침투성 살균제로 살포해야 한다.

특히 배는 봉지를 씌우기 때문에 꽃필 때부터 봉지 씌우기 전까지만 방제해도 80%이상을 방제했다고 볼 수 있다. 배 주요 병해로는 검은별무늬병, 붉은별무늬병, 겹무늬병이며 그 외 일부지역에서는 역병, 줄기마름병, 문우병, 그리고 일부품종에서는 검은무늬병이 문제가 된다.

3. 주요 병해충 방제
 

가.

검은별무늬병(흑성병, Pear Scab)

* 병원균 : Venturia nashicola Tanaka et Yamamoto

피해는 기상환경 및 지역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배재배지역에서는 제일 문제되는 병이다. 개화철인 봄철에 비가 많이 내려 습도가 높고, 일조시수가 부족하면 병 발생이 매우 심하다. 여름철 고온기에는 발생이 비교적 적지만 9월에 기온이 서늘해지고 습도가 높으면 다시 심하게 발생하여 조기낙엽을 일으킨다.
 

(1)

기후범위 및 품종

 

(가)

기후범위 : 배나무

 

(나)

품 종 
신고, 만삼길, 황금배, 풍수, 행수, 장십랑는 이병성이고 이십세기, 신수는 중간정도이며 감천, 추황, 영산배는 저항성이다.

 

(2)

병 징 
눈의 비늘조각, 잎, 과실 및 햇가지 등에 발생한다. 눈을 싸고 있는 비늘조각의 녹백색부위에 1∼2개의 병무늬가 생기는데 분생포자가 형성되면 암흑록색으로 된다. 이 병무늬는 9월∼10월에 감염된 것으로써 병든 비늘조각이 탈락되지 않고 그대로 붙어 있는 경우 햇가지의 기부에도 흑색 부정형의 병무늬가 생기지만 나중에는 흑색 그을음 모양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된다. 

이것을 춘형병무늬라고 하는데 봄부터 여름에 걸쳐서 나타난다. 잎자루, 잎맥 및 잎살 등에 많은 양의 분생포자가 형성된다. 8월 하순부터 잎의 뒷면에 먹물을 칠한 것같은 병무늬가 나타나는 데 봄에서와 같이 그을음 모양으로는 되지 않는다. 

이것을 추형병무늬라고 한다. 어린 과실에는 5월 초중순경 과실의 일부가 황변하고 그곳에 그을음 모양의 분생포자가 형성되며 열매자루에도 잘 나타나는데 일찍 낙과된다. 성숙과에는 단단한 딱지 모양의 병무늬가 생기기도 하고 과실에 틈이 생기는 것도 있다.


햇가지의 병무늬는 흑색의 둥근 모양이며, 나중에 흑갈색의 타원형으로 변하고 표면에 그을음 모양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된다. 나중에 병무늬는 괴사되면서 퇴색되고 나무껍질과 유사한 색깔을 나타내고 포자는 유실된다. 건전부와 병환부의 경계에 틈이 생긴다.
 

(3)

병환과 발병환경
병원균은 낙엽 또는 눈의 비늘 속에서 월동한다. 자낭각의 형성은 2월 하순경부터 시작되며 자낭포자는 4월상순에 성숙되기 시작해서 4월 중순이후에 비가 오면 비산되어 제1차 전염원이 되는데 5월 상순이 끝이다.

또 전년 가을에 눈의 비늘 속으로 침입되어 감염을 일으킨 부위에서는 봄에 분생포자가 형성되어 제 1차 전염원이 된다. 잎에 대한 감염적온은 15∼20℃이며 최저 8℃, 최고는 25℃정도로서 물이 있을 때 48시간 이내에 침입이 끝나며, 잠복기간은 전개 5∼6일된 어린잎은 7∼10일, 성엽은 최고 35일, 통상 15∼16일이나 전엽후 1개월이 지난 잎에는 거의 발병되지 않는다.

병원균은 각피 침입후 포복균사로 자라면서 자좌모양으로 발달하고 분생자경을 만들고 분생포자를 형성되는 5∼7월에 심하고 여름에는 일시 중지되었다가 가을게 눈이 발생하게 되면 다시 나타나며 10월까지 계속된다.

 

(4)

방 제

 

(가)경종적 방제

 

1)

병든 낙엽과 가지는 1차 전염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정시 병든 가지 및 낙엽은 반드시 제거하여 땅속에 묻던가 불에 태운다.

 

2)

검은별무늬병에 요소와 같은 질소질비료를 가을에 시비하였을 때 낙엽이 더 빨리 부식화되어 자실체인 위자낭각(pseudothecia) 생성율을 떨어뜨리는 방법, 그리고 고토석회(dolomitic lime, Ca 22.7%와 Mg 11.8%함유)을 가을철에 시비하였을 때 엽당 위자 낭각수 위자낭각수 형성엽율 및 위자낭각내 자낭수를 조사한 결과 배에서 크게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비량을 88%까지 1ha당 5.08톤으로 하였을 때 최고 자낭포자 방출량이 감소되었는데 고토석회의 시비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 효과는 컸다. 고토석회가 자낭포자 방출량을 감소시키는 이유는 석회성분이 낙엽의 pH를 높이고 미생물의 활성을 도와서 낙엽의 부식화를 조장하여 결과적으로 위자낭각 생성율을 떨어뜨린다. 

고토석회를 1ha당 0.17톤 정도로 시비하더라도 자낭포자방출이 최고 56%까지 억제되는 효과가 있어 고토석회를 농가에서 가을에 사용한다면 토양산도 조절을 할 뿐 아니라 1차 전염원의 밀도를 떨어뜨려서 약제 방제 횟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다비재배를 피하고 가지가 무성하지 않도록 키워 통광과 통풍을 좋게 한다.
 

(나)

화학적 방제법

 

1)

인편이 2∼3㎜나왔을 때 석회유황합제 5∼7도액을 살포하며 병원균수를 줄인다. 검은별무늬병이 감수성 품종인 만삼길에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58.6%의 방제가를 얻었다.

 

2)

개화기부터 낙화기까지는 열매 및 잎이 병원균에 쉽게 침입 할 수 있으므로 강우직후에 꼭 전문약제를 살포해야 한다(필수적기: 검은별무늬병 방제효과가 최고 87.8%). 전문약제로는 훼나리, 시스텐, 헥사코라졸, 트리후민 등이 있다.

 

3)

낙화기 이후 약제방제는 열매 및 잎이 25∼30일 정도 자란 조직에는 병원균의 침투가 힘들므로 봉지 씌우기전까지 10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4)

가을방제(낙엽 10∼15일전)는 꽃눈의 비늘속으로 병원균이 침입하여 다음해의 전염원이 되므로 이시기에 예방위주로 1∼2회 살포한다.

 

5)

농약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목초액에 농약사용 약량의 1/2만 넣어도 농약 단용으로 살포한 효과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나.

붉은별무늬병(적성병, rust)

* 병원균 : Gymnosporangium asiaticum Miyabe & Yamada

(동명이균 : Gymnosporangium haraeanum)
 

(1)

기주 및 중간기주식물

 

(가)
 

기주식물 : 배나무, 모과나무

 

(나)

중간기주식물 : 가이즈가향나무, 금반향나무, 참향나무, 섬향나무, 연필향나무, 옥향, 단천향나무

(2)

병 징
배나무에는 어린 잎, 어린 열매, 햇가지에 발생한다. 잎에는 처음 등황색의 아주 작은 점무늬가 생기고 커지면서 나중에 그 위에 많은 과립체(녹병자기)를 형성한다. 이 과립체는 점차 검은 색으로 변하고 단맛이 있는 끈끈한 물질을 분비한다. 

등황색의 점무늬가 생긴지 약 1개월 후의 병무늬 뒷면에는 회색-자갈색의 모상체(녹포자기)가 생겨 이것이 나중에 엷은 누른색으로 변한다. 개화기를 전후해서 비가 자주 오면 어린 열매와 햇가지에도 잎에서와 비슷한 병징이 생기는 데 나중에 모상체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데 녹병자기 사이에 곤충의 매개로 교잡이 일어났을 때에만 그 뒷면에 모상체가 형성되고 세포내에는 성을 달리하는 핵을 가진 2핵상태로 된다.


배나무의 잎이 병에 걸리면 탄소동화작용이 방해되고 기형으로 되며 조기낙엽의 원인이 된다. 병든 과실은 병무늬 주변의 조직이 죽기 때문에 기형으로 되며 조기낙과가 되어 그 해의 수량에 현저한 영향을 준다.

가이즈가향나무를 포함해서 여러 종류의 향나무에는 잎이나 햇가지의 분기점에서 발생되기 시작하는데 나중에는 가지 전체로 퍼진다. 3월∼4월초의 건조기에는 황갈색∼자갈색의 변색부위가 생기는데 4월∼5월에 비가 온 후에는 황갈색의 광택이 있는 젤리 또는 한천모양으로 부풀은 덩어리를 볼 수 있으며 이것은 겨울포자가 발아된 모습이다. 세모붉은별무늬병균의 경우, 노간주나무에는 가지나 줄기의 껍질이 트면서 황갈색-갈색의 혹모양으로 부풀은 부위가 생긴다.

향나무류에는 봄철에 겨울포자퇴를 형성하나 이것은 1∼2개월 후면 소실되어 거의 피해가 없다. 그러나 겨울포자는 몇 년에 걸쳐서 되풀이하여 형성되므로 4년째부터는 생육이 저해되고 병든 부위의 끝부분이 말라죽는다.

(3)

병환과 발병환경
병원균은 4∼5월까지 배나무에 기생하고 6월 이후에는 향나무류에 기생하며 여기서 균사의 형태로 월동한다. 4∼5월에 비가오면 향나무에 형성된 겨울포자퇴는 불어서 젤리처럼 되고 이 때에 겨울포자는 발아하여 소생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 소생자가 바람에 의해서 배나무로 옮겨지게 되고 어린 잎, 햇가지 및 열매 등의 각피 또는 기공을 통해서 침입하며 잠복기간은 8∼9일이다. 전엽후 25일 이상이 경과된 잎은 병에 걸리지 않는다. 침입균사는 표피세포와 울타리 조직사이에 곤봉모양의 균사집합체를 형성하고 이것이 젖꼭지 모양의 녹병자기로 된다.

바늘구멍 크기의 작은 병무늬는 나중에 10mm이상으로 커지며 그 안에 수십개의 흑색녹병자기를 형성한다. 한 개의 병무늬는 다른 녹병자기로 옮겨져 서로 교잡이 이루어지면 병무늬가 두터워지면서 그 뒷면에 녹병포자를 가지는 녹병포자기가 형성된다. 녹포자기는 5∼6월에 나타나는데 감염후 약 1개월이 지나면 볼 수 있다. 

녹포자는 5월말∼6,7월에 바람에 의해서 향나무로 옮겨지며 그해 가을에 병징이 나타나기도 한다. 향나무에서의 겨울포자퇴는 다음해 3월 이후 나타나기 시작하며 4월중순경부터 비가 오면 부풀어 겨울포자가 발아되며, 6년이상 반영구적으로 생존하면서 전염원이 된다.

향나무에 생긴 겨울포자퇴의 겨울포자가 발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비가 와야한다. 강우량은 많을수록 좋으나 강우의 지속시간이 적어도 6∼8시간 이상이어야 한다. 겨울포자의 발아최적온도는 13∼20℃이고 7℃이하 또는 30℃이상에는 발아하지 않는다. 소생자는 건조에 극히 약하고 생명력이 짧다.

녹포자는 성숙 직후에 가장 발아력이 왕성하며 적온은 10∼27℃이고 발아관의 신장은 25℃부근에서 가장 좋다. 소생자와 녹포자의 유효전반거리는 1km정도라고 하는데 배나무와 향나무가 가까울수록 감염이 잘된다.

(4) 방 제  

 

(가)

경종적 방법 
배나무 재배지역에서는 향나무류의 식재를 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적어도 1km이상 격리시키는 것이 안전하다. 또 전원수를 심을 때에는 배나무과에 속하는 화목류와 향나무를 혼식하는 것을 금하고 가능하면 거리를 두고 심는 것이 좋다. 

그리고 향나무류에 대해서는 겨울 포자퇴의 성숙이나 겨울 포자의 발아 등을 막아야 하므로 4월 상순에 석회유황합제를 반드시 살포토록 한다.

 

(나)

약제방제
향나무 벌체가 불가능한때는 동포자 발아전인 4월 상중경에 중간기주인 향나무류에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개화기 전후 1개월간은 특히 주의하고 적기에 예방처리하면 방제가 간단한 병이므로 검은별무늬병 방제 약제인 훼나리, 시스텐 등을 살포하므로 동시방제가 가능하다.

다.

검은무늬병(흑반병, Leaf spot)

* 병원균 : Alternaria kikuchiana Tanaka

(1) 기주식물 및 품종 

 

(가) 기주식물 : 배나무

 

(나)

품 종
이십세기, 신수, 이병성이고 신고, 황금배, 감천, 추황 등은 저항성이다.

(2)

병 징
잎, 가지, 열매에 발생하며 꽃잎에서도 병징을 볼 수 있다. 잎에서의 초기병징은 주로 어린잎에서 볼 수 있는데 작은 원형, 또는 부정형의 흑색 점무늬로 나타난다. 병반이 확대되면서 흑갈색으로 되고 윤문이 생긴다. 

잎맥에 발생하면 일찍 낙엽이 된다. 열매자루에 발생하면 열매가 시들고 누렇게 되며 낙과를 초래한다. 열매에는 잎의 병반보다 큰 흑갈색의 원형병반이 생기고 동심윤문이 나타나며 중앙부에 흑색 곰팡이가 밀생하는데 이와 같은 열매는 경화되고 쪼개지며 낙과한다. 

봉지 속의 열매에 발생할 경우 균이 봉지 외부까지 번식하여 봉지 표면에 많은 포자를 형성할 때도 있다. 6∼7월이후의 병든 열매는 점차 떨어지지만 특히 비가 온 후에는 빗물이 봉지속으로 들어가 무거워지기 때문에 잘 떨어진다. 

수확기 근처에 비가 많이 오면 수확한 열매에 작은 검은 점무늬가 나타나기도 한다. 새가지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흑갈색 병반을 형성하며 점차 움푹한 병반으로 되고 건전부와 접하는 경계부가 쪼개진다. 도장지의 아랫부위에 있는 병반은 대개 표면이 매끈하지만 윗부분에는 표면이 거친 병반이 많다. 도장지의 선단에는 항상 어린 잎이 있기 때문에 발병이 쉽다.

(3)

병환과 발병환경
병원균은 병든 잎, 말라죽은 눈, 가지, 새가지 등에서 균사상태로 월동한다. 봄이 되면 병반부위에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전염한다. 분생포자는 바람과 비에 의하여 비산되며 잎, 새가지, 열매의 표면에서 발아하여 각피를 관통하거나 기공 및 피목을 통하여 침입한다. 1차감염은 4월중순∼5월중순에 어린잎, 꽃잎에서 시작되며 6∼7월에 비가 계속 내리면 발병이 급격히 증가한다. 

잠복기간은 매우 짧아서 어린 잎에서는 24시간 이내에 병징이 나타난다. 그러나 성숙한 잎은 저항성을 나타내어 전개후 1개월 이상된 것은 발병이 어렵다. 습도가 높을 경우 병반위에는 2∼3일이 지나면 다시 분생포자가 형성되며 잎의 병반위에서 증식한 포자는 월동한 병반위의 포자와 더불어 잎, 새가지의 전염원이 된다.

한여름 고온이 계속될 때는 발병이 줄어들지만 10월까지 계속해서 발생한다. 열매의 발병은 5월중하순경부터 눈에 띄기 시작하며 열매의 병반위에는 아주 많은 포자가 형성되기 때문에 과수원내의 포자농도는 6월이후 급격히 높아진다. 

봉지를 씌운 후의 열매 감염은 열매자루로부터 빗물과 함께 들어가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발병 최적온도는 24∼28℃이며 습한 기후가 계속될 때 병의 발생이 심하다.

(4) 방 제

 

(가)

경종적 방법

 

 

1)

감수성 품종(이십세기, 신수)의 재배를 피하고 저항성 품종(신고, 황금, 감천, 추황, 장십랑)등을 재배한다.
 

 

 

2) 병든 가지나 병든 잎을 제거하고 소각함으로써 과수원내의 전염원을 없앤다.
 

 

 

3)

병에 걸리기 쉬운 품종은 열매의 감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낙화직후 작은 소봉지를 씌우고 다시 2중봉지를 씌우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4)

햇빛과 바람이 잘 통하게 정지전정을 하고 배수가 잘 되게 관리한다. 또한 과비를 피하고 수세는 적당히 관리한다
.

(나)

화학적 방법

 

1)

월동 직후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고 이병성 품종재배시 검은무늬병은 어린조직에만 감염되므로 신초가 자라는 7월초순까지 정기적으로 약제살포한다.
 

2)

방제 약제로는 이프로수화제, 포리동수화제, 디치수화제, 포리옥신수화제 등을 살포한다.

라.

겹무늬병( 윤문병: Pear ring spot, Blister canker)

* 병원균 : Botryosphaeria dothidea Nose

배나무 줄기에 사마귀 같은 혹이 발생되어 조피에 피해를 주며 또한 수확전과 후에 과실에 발생하여 썩기 때문에 감수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병은 재배지역에 따라 발생차이가 있다. 구릉지로 강우량과 바람이 많은 지역에서 발생이 심하여 특히 조생종 및 중생종에서 많이 발생한다.

(1)

기주범위 및 품종

 

(가)

기주범위 : 배나무, 사과나무 등

 

(나)

품 종 : 행수, 신흥, 석정조생에 많이 발생되고 장십랑, 이십세기, 신흥, 신수 등은 가지에 많이 발병된다.

(2)

병 징
잎, 과실, 가지 등에 발생하나 과실과 가지의 피해가 크다. 배나무의 품종간에는 큰 차이는 없으나 행수, 풍수, 운정, 군총종생, 신세기, 신홍 등의 과실이 감수성이 높다. 포장에 있어서의 과실의 발병은 8월 중순이후에 나타나며 9월 중순에 가장 많다. 

처음 과점을 중심으로 갈색의 작은 점무늬가 생기며 그후 단기간 내에 확대되면서 겹무늬 모양의 습윤상태로 되는 과면은 약간 음푹 들어간다. 한개의 과실에 보통 2∼3개의 병무늬가 생기나 경우에 따라서는 많이 생길 때도 있다. 

병무늬 크기는 5∼15mm의 것이 많으나 때로는 25mm이상의 것도 있고 병무늬 속의 과육은 엿빛이고 무름상태이다. 또 병무늬가 늦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수확후에 발병되는 것도 있으므로 수송 또는 저장중의 병으로서도 중요시된다.


가지에서의 발병은 주지, 아주지 등에 많이 발생되며 표피에 사마귀 모양의 돌기를 형성한다. 1년생∼2년생 가지에도 발생하는데 만두모양이며 크기는 2×3∼5×12mm정도이고 표피와 같은 색깔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표피에 산재하나 모여있는 경우도 있다. 

가지의 하면보다는 상면에, 단과지, 꽃눈의 기부 등에 많이 형성된다. 사마귀 모양의 돌기는 착생후 나무의 생장기에 비대해지며 나중에는 돌기 주변의 조직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약간 낮아지고 건전부와의 경계에 틈이 생기고 크기 20mm 정도의 병무늬를 형성하며, 병환부에는 작은 흑점(병자각)이 생긴다. 가지의 사마귀병 발생이 많은 것은 장십랑, 이십세기, 신홍, 신세기 등이다.

(3)

병환과 발병환경
전염원은 가지나 줄기의 사마귀상 돌기에 생긴 병자각 또는 자낭각에 형성된 포자이다. 병포자의 분출기간은 오래된 병무늬에서는 2∼11월, 새로운 병무늬에서는 6∼11월이나, 특히 분출이 많은 것은 7월 상순∼9월 상순이며 9월 하순이후는 급히 줄어든다. 

포자는 빗물에 의해서 전반되며 5∼11mm 정도의 강우시에는 포자밀도가 가장 높다. 과실에 대한 감염은 낙화 직후부터 시작되어 8월 상순까지 계속되나 5-6월에 가장 많다. 어린 과실의 표면에 부착된 병포자는 발아후 과점을 통해서 침입하며 과점 주변의 조직에 잠복한다. 

과실이 미숙한 상태에 있을 때에는 과피조직 속에서 균사의 발육이 이루어지다가 성숙기에 들어가면서 당분이 급증하고 10%를 넘을 때에 급격히 발병되면서 썩는다. 과실의 감염은 5월 중순부터 시작되어 6월 중순이후에 많아진다. 

발병은 25∼30℃에서 많고 28℃일 때 가장 심하다. 이 시기는 중생종의 과실비대기∼수확기에 해당된다. 심식충, 잎말이나방의 유충 등 해충가해부위로부터 발병되는 것이 많다. 

가지에 대한 감염은 5월경부터 연약한 부분으로부터 시작되며 햇가지의 신장이 정지되는 8월까지 계속된다. 주로 상처부위로 병원균이 침입하나 피목으로 침입하는 것도 많다. 침입후 90∼120일의 잠복기간을 거쳐서 9월상순경부터 사마귀상 돌기의 형성이 시작되고 9월 중순∼10월 상순에 발병이 가장 많다. 

이병의 주감염시기는 5∼6월이며 포자의 비산, 발아, 침입에는 빗물이 가장 큰 요인으로서 5, 6월의 강우량, 강우일수는 수확기의 발병율과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4) 방 제

 

(가)경종적 방법

 

 

1)

줄기 및 가지의 사마귀상 돌기를 봄에 일찍이 제거하고 지오판도포제 및 석회유황합제 원액을 발라준다.

 

2)

전정할 때 자른 나뭇가지는 빨리 과수원에서 없앤다

 

3)

나무의 수세가 약하면 병의 발생이 심하므로 비배관리를 철저히 하여 나무를 튼튼하게 키운다. 또 줄기나 가지를 심하게 유인하는 것을 피한다.

 

4)

과실에 심하게 발생되는 과수원에는 봉지씌우기를 하는 것이 안전하다.

(나) 화학적 방법

 

1)

휴면기에는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여 줄기의 사마귀 돌기의 발생을 막는다.

 

2)

장마철부터 병발생 상태에 따라서 베노밀, 옥시동, 비타놀 등을 살포한다.

 

3)

과실에서의 병반은 과실이 성숙되는 시기에 많이 발생되므로 가을에 강우가 잦으면 9월이후에 감염되는 경우가 있어 저장중에 발생한는 병든과실의 비율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저장용 과실은 수확 10일까지 침투성 살초제(푸르겐, 바이코)를 1∼2회 살포한후 수확하는 것이 저장중 병든 과실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마.

줄기마름병(동고병, Die-back)

* 병원균 : Phomopsis fukuskii Tanaka et Endo
 

(1) 기주식물 : 배나무

(2)

병 징
줄기와 가지에 발생한다. 처음에는 불규칙한 타원형, 수침상의 병무늬가 암갈색을 나타내면서 생기고 나중에 마르면 건전부와의 경계부위에 틈이 생기고 적갈색으로 된다. 병세가 진전되면 병무늬 표면에 흑색의 과립체(병자각)가 밀생하며 나무껍질이 거칠게 된다. 

나무 줄기에는 서남쪽에 큰가지에는 위쪽에 발병이 많으며 또 햇가지가 병에 걸리면 6월경에 급히 말라죽으면서 가지마름현상을 나타낸다. 병무늬는 봄과 가을에 확대되나 여름에는 한때 멎는다.

(3)

병환과 발병환경
병원균은 균사로 월동한 다음 봄에 병무늬에 병자각을 만들어 자낭각은 가을에 형성된다. 물기가 있을 때 포자각을 만들어 빗물에 의해서 포자는 흩어지며 상처를 통해서 식물체에 침입한다. 상처의 종류로는 해충피해, 가지치기, 한해를 받은 줄기 등이 있다.

이 병은 한해, 가뭄해, 질소비료의 과잉 또는 배수가 나쁜 토양에서 발생이 많고 특히 고접갱신, 강전정 및 행수의 장과지 이용 등으로 병의 발생이 늘어난다고 한다. 행수, 풍수 등의 품종이 감수성이 높으며 장십랑, 신고 등에서도 발생한다.

(4) 방 제

 

(가) 경종적 방법

 

 

1)

배나무 묘목을 식재할 때는 가뭄의 피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가 잘되는 땅에 심도록 한다.

 

 

2)

반드시 상처부위를 통해서 병원균이 침입하므로 가지치기 이후에는 상처부 위를 치료할 수 있는 약제를 도포 및 살포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다.

 

 

3)

나무가 웃자라면 겨울에 동해를 받아 병원균이 침입하기 쉬우므로 3요소를 알맞게 주어 나무를 튼튼히 키우고 특히 질소비료를 많이 주어서는 안된다.

 

 

4)

병든가지는 빨리 제거하여 다른 가지는 전염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나) 약제방제

 

 

1)

동계약제(석회유황합제)를 철저히 살포한다.

 

 

2)

줄기의 병무늬는 병든 부위를 깎아내고 지오판, 도포제 등으로 발라준다.
 

바.

역 병(collar and fruit rot)

* 병원균 : Phytophthora cactorum Schreenk
 

(1)

기주범위 및 품종

 

(가)

기주범위 : 배, 사과, 복숭아 등

(나)

품 종
추황, 풍수, 신고, 감천은 감수성이며 행수, 감로, 선황은 중간정도, 장십랑, 만수, 황금, 만풍, 원황은 저항성이고 화산배는 극저항성이다.

(2)

병 징

 

(가)

줄기 : 주로 1년생 묘목에 발생이 많으며 성목은 대체로 역병에 저항성이다. 땅가부위의 줄기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병원균이 빗물에 튀어 올라 지상부 줄기에 발생하기도 한다.

지제부 줄기는 흑갈색으로 썩으며 부정형의 큰 병반은 줄기 둘레 전반에 나타나도 위로 진전되는데 토양이 장기간 과습하면 수침상의 병반이 건전부위와 불분명하게 나타난다. 목질부 조직이 심하게 침해를 받기 전에는 외관상 지상부 병 증상을 잘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이병초기에는 세심히 관찰하여야 확인 할 수 있으며 외부(지상부) 증상이 나타난 이후에는 치료가 매우 어렵다. 

경북 상주군의 일부 농가에서는 성목의 줄기에도 역병이 심하게 발생하여 폐원의 위기에 처한 경우도 있으므로 성목의 경우라도 역병에 저항성이라고 단정 할 수 없으며 재배 품종과 수령에 따라 감수성 차이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나)

잎 : 흑갈색의 큰 병반이 부정형으로 확대되는데 대개의 경우 1개의 잎에 1∼3개의 병반이 형성된다. 날씨가 건조해지면 병든 부위는 잘 찢어지고 낙엽되기도 하며 흐리고 비오는 날이 지속되면 병반은 불분명하게 크게 확대된다.
 

 

(다)

가지 : 주로 1년생 가지에 발생이 많지만 2∼3년생 가지에도 발생된다. 병원균은 세포분열이 왕성하고 부드러운 조직인 화총 형성부위로 가장 용이하게 침투하는데 일단 감염되면 화총 전체는 검게 고사하고 화총 생성 부위의 가지에는 흑갈색의 큰 부정형 반점이 형성되며 썩는다. 침입한 병원균은 줄기나 신초의 내부 조직을 파괴하여 썩으며 감염부위 윗부분은 검게 고사되기도 한다.

(3)

병환과 발병환경
병원균은 주로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난포자 형태로 월동하여 다음해 1차전염원이 되며, 토양중에서도 난포자 형태로 오랜동안(2년이상) 생존하여 전염원이 될 수 있다. 난포자는 환경조건이 나쁘면 발아하지 않고 견디다가 적당한 환경조건이 주어지면 발아하여 유주자낭을 형성하고, 유주자낭을 형성하고 유주자낭에서 유주자가 분출되어 땅가부분의 목질부나 뿌리부분을 침입한다. 

병반에서 분출된 병원균은 빗방울에 튀어 땅가부분의 과일에도 이병되기 시작하고 점차 상부 과일로 전파된다. 과일이나 가지의 이병부는 알맞은 온도와 습도가 주어지면 병반상에 유주자낭이 형성되어 2차전염원이 된다.


장마가 오래 계속되는 해에 많이 발생하고 늦은 봄과 이른 가을에 피해가 크며 한여름에는 진전이 억제된다. 습하고 배수가 불량한 토양에서 병발생이 심하며 한번 발생하면 방제가 매우 어렵다. 지면에서 가까운 부분은 비교적 음습하여 병발생이 유리하고 밀식하거나 나무가 쇠약하면 피해가 크다.

(4) 방 제

 

(가)

경종적 방법

1) 밀식을 피하고 과원에 통광과 통풍을 좋게 한다.

2) 접목부위가 가능한 지표로부터 위로 높게 심는다.

3)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4) 병든 가지나 줄기, 잎 등은 반드시 한곳에 모아 소각한다.


5) 초생재배나 보리 및 벼짚 등으로 피복한다.

6) 아인산염(K3PO3) 1000ppm 살포시 방제효과가 우수하다(방제가 88%)
 

(나)

화학적 방법

 

1)

줄기나 주지에 발생한 경우에는 병든 부위의 껍질을 칼로 벗겨내고 성목의 도포제나 역병약제를 발라주며 병진전을 막는다.
 

2)

동계약제(석회유황합제)를 철저히 살포한다.
 

3)

국내에는 아직 배역병에 고시된 전문약제는 없고 외국에서는 방제약제로는 캡탄수화제, 신도판, 포롬, 후루아지남('98년 성적, 약해 없고, 약효 80%이상 나주배연구소)을 살포한다.


참고문헌

  • George N. Agrios. 1997. Plant Pathology. pp. 635
  • Plant Disease, 1997. 81:96∼98
  • 今村 奈良. 1998. 목질탄화물(숯과 목초액)의 농업 및 환경적 이용에 관한 국제 심포지움. pp. 119∼128.
  • 농민신문사. 1995, 지금은 왜 환경 보존형 농업인가? pp. 139∼165.
  • 농촌진흥청. 과수병해충 pp. 108∼119.
  • 梅本淸作. 1993. 일본 배 흑성병의 발생 생태와 방제에 관한 연구, 千 葉農試 特報 22:1∼99
  • 梅本淸作·村上裕俊. 1998. 유기동제의 흑성병 방제효과에 미치는 요인. 千葉農詩硏報 39:9∼14
  • 박영섭. 1998, 검은별무늬병 발생생태와 방제. 원예연구소 보고서
  • 지형진. 1998. 역병 방제용 아인산염(KPHA)의 특성 및 효과. 농업과학기술원 보고서.
  • 한국 유기농업 환경 연구회. 1991. 유기농업에 의한 과수재배 pp. 23 3∼253
  • 한국식물병리학회. 1997. 사과, 배의 병진단과 방제. pp. 147∼189.